공공배달앱이란?
공공배달앱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거나 지원하는 배달 플랫폼으로, 민간 배달앱의 높은 수수료와 광고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서비스입니다.소상공인 보호와 지역 소비 촉진을 목표로 하며, 대부분 지역화폐와 연동됩니다.
공공배달앱 장단점 요약
장점
- 수수료 부담이 낮다 (0~2%)
- 지역화폐 연동 가능
- 광고비 없이 공정한 노출
- 지자체 할인·혜택 제공
단점
- 사용자 수 부족
- 배달기사 수급 어려움
- 앱 품질, UI/UX 낮음
- 마케팅 인프라 부족
공공배달앱 소비쿠폰 사업
농림축산식품부는 소상공인의 배달앱 수수료 부담을 줄이고 외식경기 활성화를 위해 오는 10일부터 공공배달앱 활성화 소비쿠폰사업을 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소비자가 공공배달앱으로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제과점업 등 외식업체에서 한 번에 2만 원 이상 3회 포장 또는 배달 주문하면 다음 주문에 이용할 수 있는 1만 원 상당의 소비쿠폰 650만 장을 선착순으로 지급합니다.
소비쿠폰은 공공배달앱으로 음식을 주문하면 별도의 응모절차 없이 공공배달앱별로 이용 횟수를 산정해 자동으로 지급하며, 공공배달앱 신규 이용자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소비쿠폰 지급은 배달앱별로 1인당 월 1회로 제한한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www.korea.kr)
공공배달앱 종류
군산 | 배달의명수 | 국내 1호 공공배달앱 |
김포 | 일단시켜 | 김포페이 연동 |
강원도 | 배달강원 | 강원상품권 사용 가능 |
경상북도 | 먹깨비 | 도 전역 통합형 |
시흥 | 배달온시흥 | 지역화폐 혜택 제공 |
부산 | 동백통 | 동백전 연동 |
공공배달앱과 민간 배달앱의 차이점은?
공공배달앱과 민간배달앱은 수수료, 혜택, 운영방식에서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입니다:
수수료 | 0~2% | 10~20% 이상 |
광고비 | 없음 또는 저가 | 고가의 노출광고 필수 |
사용자 수 | 적음 | 전국 단위 대중성 |
지역 혜택 | 많음 | 거의 없음 |
자주 묻는 질문(FAQ)
Q1. 공공배달앱은 왜 생겼나요?
A. 민간 배달앱의 높은 수수료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보호하고, 지역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지자체가 도입했습니다.
Q2. 공공배달앱은 누가 이용할 수 있나요?
A. 해당 지자체 거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지역화폐와 연동된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Q3. 어떤 지역에서 공공배달앱을 운영하고 있나요?
A. 군산, 김포, 시흥, 강원도, 부산, 경북 등 전국 30여 곳에서 운영 중입니다.
정리
공공배달앱은 소상공인과 지역 경제를 위한 공공 플랫폼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사용자 편의성과 인프라가 부족하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 투자로 향후 민간 배달앱과 경쟁 가능한 수준까지 발전할 가능성이 큽니다.
🔗 추천 읽을거리
요약
공공배달앱은 지자체가 운영하는 배달 플랫폼으로, 수수료가 낮고 지역화폐 연동 혜택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배달의명수', '먹깨비', '일단시켜' 등이 있으며, 민간 배달앱보다 광고비 부담이 적고 지역 상권 보호에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