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같은 여름철 폭염을 이겨내기 위해 에어컨 사용이 늘어나면서 전기요금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간단한 방법만 알아도 쾌적함은 유지하면서 전기요금은 줄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에어컨 전기 절약법과 효율적인 사용법, 그리고 전기요금 캐시백 제도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에어컨 전기세 줄이는법
냉방 모드는 실내 온도를 낮추는 것이 목적이며, 실외기의 작동 빈도에 따라 전기 소모가 결정됩니다.
제습 모드는 실내 습도를 낮추는 것이 목적이라, 습도가 높을 때 실외기가 더 자주 작동해 전기 소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은 날에는 제습 모드 사용 시 전기요금이 더 많이 나올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쾌적함이 우선이라면 제습 모드를, 전기요금이 걱정된다면 냉방 모드를 주로 사용하고 제습은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에어컨 전기세 절약방법 입니다.
1-1. 에어컨 바람 방향, 어떻게 해야 전기 절약될까?
많은 분들이 바람 방향을 아래로 고정하지만, 이는 오히려 전기 소비를 늘릴 수 있습니다.
바람을 위로 설정하면 차가운 공기가 천장 쪽에서 바닥으로 자연스럽게 퍼지면서 실내 전체에 고르게 순환됩니다.
실내 온도가 고르게 낮아져 실외기의 작동 빈도가 줄고, 냉방 효율과 전기 절약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바람 방향을 잘못 설정하면 특정 부분만 시원해지고 실외기가 자주 작동해 전기 소모가 늘어날 수 있으니, 바람 방향을 위로 설정하는 것이 에어컨 전기세 절약하는 방법입니다.
1-2. 외출 시 에어컨 전원, 꺼야 할까? 켜둬야 할까?
에어컨 전기세 절약방법으로 인터넷에는 무조건 끄거나 켜라는 극단적인 정보가 많지만, 실제 실험 결과는 다릅니다.1시간 반(90분) 이내로 외출할 경우에는 에어컨을 끄지 않고 켜두는 것이 전기 절약에 더 효과적입니다.한두 시간 안에 다시 돌아올 예정이라면 계속 켜두는 것이 실내 온도 유지와 전기 절약에 유리합니다.1시간 반을 초과하는 장시간 외출 시에는 끄는 것이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외출 시간에 따라 전원 관리 방식을 달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3. 인버터형 vs. 정속형 에어컨
인버터형 에어컨 정속형 에어컨 구분법과 사용법
구분 | 인버터형 에어컨 | 정속형 에어컨 |
구분법 | 정격 능력 표시에 세 개로 나뉘어 있음 | 정격 표시 옆에 숫자가 하나만 있음 |
전기 사용 | 실내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전력 조절 | 켜져 있는 시간만큼 일정 전력 소비 |
효율적 사용법 | 계속 켜두는 것이 효율적 | 필요할 때만 켜는 것이 전기 절약 |
장시간 사용 | 전기요금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음 | 장시간 켜두면 전기요금 크게 증가 |
실내에 사람 없을때 | 꺼두는 것이 좋음 | 반드시 꺼두는 것이 좋음 |
2. 에어컨 효율적인 사용방법
필터 청소는 기본!
에어컨 필터 청소를 2주에 한 번씩 해주면 냉방 효율이 올라가고, 전기세도 절약됩니다. 필터에 먼지가 쌓이면 전기 소모가 늘어나니, 필터 청소는 필수적인 에어컨 전기세 절약방법입니다.
실외기 관리로 추가 절약
실외기 관리도 에어컨 전기세 절약방법 중 하나예요. 실외기 주변에 장애물이 없고, 직사광선을 피하면 에너지 소모가 줄어듭니다.
적정 온도 유지하기
에어컨을 너무 낮은 온도로 설정하면 전기요금이 급증합니다. 적정 온도(26~28℃)**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에어컨 전기세 절약방법입니다.
창문, 커튼, 타이머, 절전 기능 적극 활용
창문을 꼭 닫고, 커튼으로 햇빛을 차단하면 냉방 효율이 높아집니다. 타이머와 절전 기능을 활용하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어요. 이런 작은 습관들도 모두 에어컨 전기세 절약방법에 포함됩니다.
선풍기·서큘레이터 병행
에어컨과 함께 선풍기 또는 서큘레이터를 사용하면 체감 온도가 낮아져 에어컨 설정 온도를 높여도 시원함을 유지하는 것이 에어컨 전기세 절약방법 입니다.
3. 전기세 캐시백 신청하기
에어컨 전기세 절약방법으로 전기세 캐쉬백 신청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전기세 캐쉬백이란 직전 2개년 대비 전기 사용량을 줄인 가정에 다음 달 전기요금을 자동으로 차감해주는 제도입니다.신청 방법은 간단합니다. 검색창에 ‘전기요금 캐시백’을 입력해 관련 사이트에 접속, 신청 버튼만 클릭하면 끝! 별도의 복잡한 절차 없이 신청만 해도 전기요금 절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특히 에어컨 등 전기 사용량이 많은 계절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3-1.신청 기간 및 혜택
신청 기간: 2025년 3월부터 시작, 여름철(6~8월) 이전에 신청 권장.
혜택: 전년도 동기간 대비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 절감률에 따라 캐시백 지급
(요금 차감 또는 현금 환급, 일부는 카카오페이 등 지급 방식도 도입 예정)
절감률 기준 | 캐시백 혜택 |
5% 이상 | 5,000원 |
10% 이상 | 10,000원 |
15% 이상 | 15,000원 이상 |
3-2.전기세 캐시백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방법:
1.한전 에너지캐시백 공식 홈페이지 접속
2.포털에서 ‘한전 에너지캐시백’ 또는 ‘에너지마켓플레이스’ 검색 후 접속.
3.회원가입 및 로그인
4.휴대폰 본인인증(PASS 앱 등)으로 간편하게 가입 가능.
5.전기요금 고지서에서 ‘고객번호’ 확인 후 입력.
6.개인정보 동의 및 신청 정보 입력, 확인 후 ‘신청’ 버튼 클릭.
신청 완료 후 마이페이지에서 신청 내역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