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해킹 사건 이후 대응 상황
얼마전, 국내 최대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에서 대규모 해킹 사건이 발생하여 약 2,300만 명의 가입자 유심 정보가 유출되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 통신 인프라의 핵심인 HSS(Home Subscriber Server) 서버가 침해당한 것으로, 그 심각성이 이전과는 다르게 매우 큰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우선 사건의 전말과 대응 방법,유심 교체를 서둘러야 하는 이유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발생 시점: 2025년 4월 19일 밤 11시경
- 공식 발표: 2025년 4월 22일
- 침해 대상: SKT의 HSS 서버
- 유출 정보:
- IMSI(가입자 고유 식별번호)
- IMEI(단말기 고유 식별번호)
- USIM 인증 키
- 피해 규모: 약 2,300만 명의 가입자
여기에서 말하는 HSS 서버란? 통신 가입자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통신 인증을 담당하는 핵심 서버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통신사(SK텔레콤, KT, LGU+ 등)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 인증 시스템"이 합쳐진 서버입니다.
HSS의 주요 기능
- 가입자 인증
- 핸드폰 전원을 켤 때, "이 유심(USIM)과 전화번호가 통신망에 등록된 사용자냐?"를 확인합니다.
- 유심(USIM)에 저장된 IMSI(가입자 고유번호)와 서버에 등록된 데이터를 비교해 인증합니다.
- 세션 관리
- 통화 연결, 인터넷 접속 같은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관리합니다.
- 예를 들어, 내가 전화 걸면 상대방과 연결되도록 해주는 정보 교환을 담당합니다.
- 로밍 지원
- 해외에 나가서 로밍할 때, 외국 통신사에 "이 사용자는 우리 고객이다"라고 인증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 서비스 정책 적용
- 데이터 요금제, 부가 서비스(예: 통화녹음, VoLTE) 같은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권한을 관리합니다.
쉽게 말하면, "통신사의 가입자 명부" + "통신 연결 관리자" + "서비스 사용 허가 시스템"
이 세가지 기능을 모두 맡은 서버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HSS가 해킹당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HSS 해킹은 단순 개인정보 유출보다 훨씬 심각합니다.
첫번째, 해커가 내 IMSI, 인증키를 복제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타 기기에서 내 번호를 그대로 사용 가능 합니다(심 클로닝)
세번째, 통신망에서 진짜 가입자 처럼 행동이 가능합니다.
네번째, 내 번호로 인증 금융거래,로밍,범죄가 가능합니다
즉, 단순한 전화번호 유출이 아니라 디지털 신원 자체가 복제당한 상태가 된 다는 것입니다.
HSS란? | 가입자 인증, 세션 관리, 서비스 정책 적용 서버 |
하는 일 | 유심 인증, 통화/데이터 연결 관리, 로밍 인증 등 |
해킹 시 문제 | 내 디지털 신원(ID) 복제, 금융·통신 범죄 위험 |
연결 시스템 | LTE, 5G 일부 구조에서도 활용 |
우리가 해야 할 5가지 대응 조치
1. 유심 교체 (가장 중요!)
- SKT 대리점 방문 또는 온라인 예약 후 교체
- 가능하면 eSIM으로 전환
2.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 SKT T월드 앱에서 가입 가능
- 복제된 유심이 다른 폰에 꽂힐 경우 차단
3. 금융 및 포털 비밀번호 변경
- 강력한 비밀번호로 변경
- 가능하면 OTP나 보안카드 추가 설정
4. 핸드폰에 저장된 신분증 파일 삭제
- 신분증 사진, 주민등록증 사본 등 민감 파일 삭제
5. 이상 거래·로그인 모니터링
- 금융사, 포털 사이트 알림 설정
- 이상 징후 발견 시 즉시 신고
SKT 해킹 유심교체 선착순 예약 및 예방법 총정리
목차SKT 해킹 유심교체 사건 개요SKT 유심 해킹의 주요 수법SKT 유심교체 선착순 예약 방법SKT 유심보호 서비스 소개SKT 해킹 확인 방법SKT 해지방법 안내SKT 해킹 예방을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유심
pksteacher.com
SKT 해킹 사건 이후 대응 상황
- 악성코드 제거 및 서버 격리
- 유심 보호 서비스 무료 제공
- 유심 무료 교체 지원
- 피해 발생 시 100% 보상 약속
- 5월까지 500만 개 유심 추가 확보 예정
현재 SKT측에서는 위 다섯가지 조치 방안들을 내놓고 진행중에 있습니다. 사건 이후 SKT의 초동 대응이나 유심 재고 미확보 등 여러가지 문제점 들로 인한 고객의 불안감 해소 실패로 당분간은 신뢰감 회복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입니다.